git
업무를 하면서 자주 쓰는 git 명령어들 모음
실무에서 정말 자주 쓰이거나 시간을 확 줄여주는 GIT 명령어
DevOps Engineer. Fullstack Develloper. Software Architect.
git
실무에서 정말 자주 쓰이거나 시간을 확 줄여주는 GIT 명령어
webmin
Webmin은 웹 기반의 시스템 관리 도구로, 서버 설정을 GUI로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Ubuntu 서버에 Webmin을 설치하고 접속하는 과정을 아래와 같이 단계별로 안내드리겠습니다.
AI
MCP(Model Context Protocol)는 인공지능 모델이 외부 세계와 소통하는 방식을 혁신적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각각의 AI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베이스, 파일 시스템, 웹 API 등과 연결될 때마다 별도의 통합 작업이 필요했지만, MCP는 이러한 연결 방식을 표준화하여 AI의 활용 범위를 크게 확장시켰습니다. 이 글에서는 MCP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며, 어떤 장점을 제공하는지 초보자도
ubuntu
GitHub : https://github.com/declue/docker_ubuntu 2019년에 만들었던 Docker 이미지입니다. 만든 목적은.. 기본 ubuntu 이미지에는 제가 자주 쓰는 도구가 너무 없어서 그냥 기본 빌트인을 시킬겸, base 이미지를 만들겸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GitHub Actions를 이용하여 ubuntu 버전별로 다음의 과정을 거쳐 이미지를 만들고 있습니다. 현재 아래와 같이 버전별로 제공이 되며, 한국어 지원
DevOps
오늘날 소프트웨어는 거의 모든 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고 있으며, DevOps 문화와 최신 인프라를 도입하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기업의 생존 전략으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제조와 같은 첨단 산업에서도 개발(Development)과 운영(Operations)의 경계를 허물고 자동화와 협업을 극대화하는 DevOps 실천은 생산성, 품질, 속도, 안정성 면에서 엄청난 이점을 제공합니다. 이
open-webui
오픈소스 vs. 인하우스 개발, 왜 문제인가?
ghost
인터넷에서 블로그나 뉴스 사이트를 읽다 보면, 글 하단에 달려 있는 댓글창을 자주 보셨을 겁니다. 이런 댓글 시스템 중 하나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서비스 중 하나가 바로 **Disqus(디스커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Disqus가 무엇인지, 왜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설치하고 활용할 수 있는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Disqus란 무엇인가요? Disqus는 웹사이트나 블로그에 댓글 기능을
HomeLab
개요 및 목적 * 현대 IT 환경에서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필수적 * 하지만 운영과 관리에는 상당한 인력과 자원이 소요 * 가정에서 구축해서 혼자 쓰는 클러스터인만큼 AI 기술과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운영하는 방안 고민함 * 최소한의 운영 비용과 최대한의 자동화 구현을 통해 엔지니어의 업무 부담을 줄이고,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 클러스터
linux
1. apt 설치 sudo apt-get install cifs-utils 2. mount할 폴더 생성 mkdir /shared 3. mount sudo mount -t cifs -o username=[아이디],password=[패스워드] [//ip주소/경로] [마운트 경로] ex) # 이렇게 기본 옵션으로 할 경우 root 권한만 접근 가능해짐 sudo mount -t cifs -o username=admin,password=hello //192.168.0.
airflow
공식 문서: https://airflow.apache.org/docs/apache-airflow/stable/howto/docker-compose/index.html 1. 스크립트 다운로드 curl -LfO 'https://airflow.apache.org/docs/apache-airflow/2.10.5/docker-compose.yaml' 2. 환경 변수 생성 AIRFLOW_UID=50000 AIRFLOW_GID=0 3. airflow 초기화 docker-compose up airflow-init 4. 실행 docker-compose
fio
1.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fio 2. fio 수행 fio --name=read_test --ioengine=sync --size=1G --numjobs=1 --runtime=1m --time_based --group_reporting --output=read_test_result.txt * --name: 작업의 이름을 지정 * --ioengine=sync: 랜덤 쓰기 작업을 수행 * --size=1G: 테스트할 파일 크기 (1GB) * --numjobs=1: 동시에
smartmontools
1. 패키지 설치 sudo apt install smartmontools 2. 디스크 정보 조회 sudo smartctl -A /dev/sda 3. 더 상세한 정보를 보고 싶다면 아래 명령어 sudo smartctl -a /dev/sda